그래프를 이진 트리 처럼 구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진 트리에서 부모 노드는 오직 두 개 이하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이진 트리 구현은 비슷한 편이다. 하지만 그래프는 이진트리에 비해 훨씬 유연한 구조를 가진다.
인접 리스트 (adjacency list) 또는 인접 리스트 배열(array of adjacency list)이라 불리는 방법으로 그래프의 간선을 표현할 것이다.
인접 리스트에서는 인접한 각 정점의 배열 리스트에 정점을 인덱스로 이용해 간선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정점 2가 정점 0, 1, 3, 4로 연결되고 인덱스는 2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인덱스 2에는 정점 0, 1, 3, 4의 정보가 들어있을 것이다.
간선을 구현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 이라는 방식도 있다. 인접 행렬이란 두 정점 간의 간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요소를 포함하는 이차원 배열이다.
인접행렬
// 인접 행렬const vertexList =["A","B","C","D","E","F"];const adj =[...vertexList.map((_)=>Array())];
adj[0][0]=0;// A 에서 A 로 향하는 간선
adj[0][1]=1;// A 에서 B 로 향하는 간선
인접 리스트
// 인접 리스트const adj =[]
adj[0]=[2]
adj[1]=[2]
adj[2]=[0,1,3,4]
adj[3]=[2]
adj[4]=[2]// 그래프 클래스에는 Vertex의 연결 리스트의 head를 지니고 있고,// 각각의 Vertex에는 다음 Vertex 와 간선 연결 리스트의 head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각각의 간선에는 다음 간선들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classGraph{this.vertexHead =null;}classVertex{this.nextVertex =null;// 다음 정점this.edgeHead =null;// 간선 연결 리스트this.wasVisited =false;// 방문 이력this.distance =null;// 단일 출발지에서 최단 거리 구할때 사용this.key =null;}classEdge{this.nextEdge =null;// 다음 간선this.destination =null;// 향하는 정점(Vertex 인스턴스) : A 정점의 간선 연결 리스트에 연결 되어있고 destination이 B 라고 하면 A->Bthis.data =null;// 간선의 weight}
그래프 구현 (간단한)
Graph 클래스는 그래프의 정점수를 나타내는 배열 길이를 이용해 그래프의 간선 수, 정점 수 정보를 유지한다.
배열의 각 요소를 for문으로 반복하면서 각 요소에 인접 정점을 저장할 서브 배열을 추가한 다음 각 요소를 빈 문자열로 초기화 함.
// 정점 수를 인자로 받아서 인덱스에 매핑 시킨다.classGraph{
vertices:number;
edges:number;
adj:number[][];constructor(v:number){this.vertices = v;// 총 정점 수this.edges =0;// 총 간선 수this.adj =newArray(v);for(let i =0; i <this.adj.length; i++){this.adj[i]=[];}}// 정점 v 와 정점 w를 인접 리스트에 추가한다.addEdge(v:number, w:number){this.adj[v].push(w);this.adj[w].push(v);// 순환 참조를 안시키려면 주석을 해야한다.this.edges++;// 간선의 수를 1만큼 증가 시킨다.}showGraph(){console.log("this.adj",this.adj);this.adj.forEach((verticeList, index)=>{// verticeList : 정점 리스트console.log(`${index} -> `);
verticeList.forEach((vertice)=>{if(vertice !==undefined){console.log(`${vertice}`);}});console.log("\n");});}}// const g = Graph(5);// g.addEdge(0,1);// g.addEdge(0,2);// g.addEdge(1,3);// g.addEdge(2,4);// g.showGraph();// 0 -> 1 2// 1 -> 0 3// 2 -> 0 4// 3 -> 1// 4 -> 2
프로그램 결과
정점 0에는 정점 1,2로 연결되는 간선이
정점 1에는 정점 0,3으로 연결되는 간선이
정점 2에는 정점 0,4로 연결되는 간선이
정점 3에는 정점 1로 연결되는 간선이
정점 4에는 정점 2로 연결되는 간선이 있다.
그래프 구현 (연결 리스트)
// 연결 리스트를 사용한 그래프 구현// 간선classEdge<T>{
data:number;// 간선의 weight
nextEdge: Edge<T>|null;
destination: Vertex<T>;constructor(data:number, des: Vertex<T>){this.data = data;this.nextEdge =null;this.destination = des;}}// 정점classVertex<T>{
label:T;
wasVisited:boolean;
edgeHead: Edge<T>|null;
nextVertex: Vertex<T>|null;constructor(label:T){this.label = label;this.wasVisited =false;// 탐색시 사용this.edgeHead =null;this.nextVertex =null;}}// 그래프classGraph2<T>{
vertexHead: Vertex<T>|null;
count:number;constructor(){this.vertexHead =null;this.count =0;// 총 정점 갯수}insertVertex(label:T){const newVertex =newVertex<T>(label);let lastVertex =this.vertexHead;if(lastVertex){// 계속 순환 하면서 다음 vertex 가 없을 때까지while(lastVertex.nextVertex !==null){
lastVertex = lastVertex.nextVertex;}
lastVertex.nextVertex = newVertex;}else{// vertexHead 가 없다면this.vertexHead = newVertex;}this.count =this.count +1;}deleteVertex(label:T){// 삭제 : 삭제 타겟의 다음 vertex를 삭제 타겟의 이전 vertex에 연결 시켜 주어야 한다.let targetVertex =this.vertexHead;let prevVertex =null;while(targetVertex && targetVertex.label !== label){
prevVertex = targetVertex;
targetVertex = targetVertex.nextVertex;}if(!targetVertex)returnfalse;if(prevVertex){// 삭제 되는 이전 vertex 가 있다면 타겟 vertex의 다음 vertex를 넘긴다.
prevVertex.nextVertex = targetVertex.nextVertex;}else{// 첫 vertext가 삭제 된다면this.vertexHead = targetVertex.nextVertex;}this.count =this.count -1;}insertEdge(data:number, fromLabel:T, toLabel:T){// fromLabel을 가지고 from Vertext를 찾자let fromVertex =this.vertexHead;let toVertex =this.vertexHead;while(fromVertex && fromVertex.label !== fromLabel){
fromVertex = fromVertex.nextVertex;}while(toVertex && toVertex.label !== toLabel){
toVertex = toVertex.nextVertex;}if(!fromVertex ||!toVertex)returnfalse;// 새로 만든 간선을 fromVertex의 마지막 edge에 추가한다.const newEdge =newEdge<T>(data, toVertex);let lastEdge = fromVertex.edgeHead;if(lastEdge){while(lastEdge.nextEdge !==null){
lastEdge = lastEdge.nextEdge;}
lastEdge.nextEdge = newEdge;}else{// fromVertex의 edgeHead가 없다면 처음에 넣어준다.
fromVertex.edgeHead = newEdge;}}deleteEdge(fromLabel:T, toLabel:T){let fromVertex =this.vertexHead;while(fromVertex && fromVertex.label !== fromLabel){
fromVertex = fromVertex.nextVertex;}if(!fromVertex)returnfalse;let targetEdge = fromVertex.edgeHead;let preTargetEdge =null;while(targetEdge !==null){if(targetEdge.destination.label === toLabel)break;
preTargetEdge = targetEdge;
targetEdge = targetEdge.nextEdge;}if(!targetEdge)returnfalse;if(preTargetEdge){
preTargetEdge.nextEdge = targetEdge.nextEdge;}else{// 삭제될 타겟팅의 이전이 없다면 첫 엣지다.
fromVertex.edgeHead = targetEdge.nextEdge;}}}// const graph = new Graph2();// graph.insertVertex('A');// graph.insertVertex('B');// graph.insertVertex('C');// graph.insertVertex('D');// graph.insertVertex('E');// graph.insertVertex('F');// graph.insertEdge(1, 'A', 'B');// graph.insertEdge(1, 'B', 'C');// graph.insertEdge(1, 'B', 'E');// graph.insertEdge(1, 'C', 'E');// graph.insertEdge(1, 'C', 'D');// graph.insertEdge(1, 'E', 'D');// graph.insertEdge(1, 'E', 'F');// graph.deleteVertex('B')
그래프 검색
깊이 우선 검색 (depth first search)
너비 우선 검색 (breadth first search)
그래프는 사실 child 노드라고 하기 보다 인접한 노드라고 하는게 정확합니다.
깊이 우선 검색 (DFS)
한 정점에서 시작해 마지막 정점이 나올 때까지 모든 경로를 탐색한 다음 다시 이전 경로로 거슬러 올라가 다음 경로를 찾기를 반복해 더 이상 방문할 경로가 없을 때까지 탐색 수행
이진 트리 검색중에 inorder, preorder, postorder 가 깊이 우선 검색에 해당됩니다.
child 노드를 끝까지 파고난 다음에 (마지막 노드까지 갔다가 다시 올라와서 형제 노드들을 방문) 그 다음 줄기를 검색하고 또 다시 그 다음 줄기를 검색하는 방식입니다.
깊이 우선 검색은 Stack을 이용해서 구현합니다.
스택에 일단 루트 노드를 넣고 먼저 스택에서 노드를 하나 꺼내서 그 해당 child 노드를 전부 스택에 넣고 꺼낸 노드는 출력을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child 노드를 스택에 넣을 때는 한번 넣었던 child 노드는 넣지 않습니다.
특히 DFS를 구현할때 재귀 호출을 이용하면 코드가 간결해 집니다.
classGraph{
vertices:number;
edges:number;
adj:number[][];
marked:boolean[];constructor(v:number){this.vertices = v;this.edges =0;this.adj =newArray(v);for(let i =0; i <this.adj.length; i++){this.adj[i]=[];}// 탐색을 했는지 안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this.marked =[];for(let i =0; i <this.adj.length; i++){this.marked[i]=false;}}addEdge(v:number, w:number){this.adj[v].push(w);this.adj[w].push(v);// 순환 참조를 안시키려면 주석을 해야한다.this.edges++;}showGraph(){console.log("this.adj",this.adj);this.adj.forEach((verticeList, index)=>{console.log(`${index} -> `);
verticeList.forEach((vertice)=>{if(vertice !==undefined){console.log(`${vertice}`);}});console.log("\n");});}// 재귀는 곧 돌아와서 다시 할일이 있기 때문에 사용한다.// 재귀는 곧 stack을 이용한다. browser 실행 stack을 이용한다.// 순서 0 -> true, this.adj[0] = 1, this.dfs(1), 1 -> true,...dfs(v:number){// 이 실행 자체가 stack에 들어간다.this.marked[v]=true;if(this.marked[v]!==undefined){console.log(`Visited vertex: ${v}`);}// 방문한 인접한 노드를 loop를 돈다.for(let w ofthis.adj[v]){// 이미 방문 했던 vertex는 무시한다.// 인접한 노드를 방문한다.if(!this.marked[w]){this.dfs(w);}}}}
너비 우선 검색 (BFS)
첫 번째 정점에서 시작해 가능한 한 첫 번째 정점과 가까운 정점을 방문한다.
기본적으로 너비 우선 검색은 그래프를 계층(layer)별로 탐색한다. 즉, 첫 번째 정점에서 가장 가까운 계층을 먼저 탐색한 다음 시작 정점에서 점점 멀리 있는 계층을 검색하는 방식이다.
너비 우선 검색에서는 배열 대신 큐를 이용해 방문한 정점을 저장한다.
시작점에서 먼저 자신의 child 노드들을 다 방문 한 뒤에 그 다음의 자식의 자식을 방문을 해서 레벨 단위로 검색을 하는 것입니다.
넓이 우선 검색은 Queue를 이용해서 구현합니다.
일단 시작할 노드를 큐에 넣고 큐에서 하나 꺼내서 해당 노드의 child 노드를 큐에 넣고 꺼낸 노드는 출력하면 됩니다.
여기서 child 노드를 큐에 넣을때 한번 넣었던 child 노드는 다시 큐에 넣지 않습니다.
bfs(s:number){const queue =[]asnumber[];this.marked[s]=true;
queue.push(s);// 큐에 더이상 실행 시킬 노드가 없을 때 까지while(queue.length >0){const v = queue.shift();// 큐에서 가져옴if(v !==undefined){console.log(`Visited vertex: ${v}`);// 인접한 노드들에 대해서 순환을 돈다.for(let w ofthis.adj[v]){if(!this.marked[w]){// 이미 방문하지 않았던 w 정점에 대해서this.edgesTo[w]= v;// 최단 경로 찾을 때 이용 : 경로를 찾을때 간선 정보를 겹치지 않게 유지할 배열this.marked[w]=true;// 정점에 도달
queue.push(w);// 방문한 정점에서 가장 인접한 레벨의 정점들을 큐에 넣어둔다.}}}}}// 0 -> [1,2], 1 -> [0,3], 2 -> [0,4], 3 -> [1], 4 -> [2]// 0,1,2,3,4// this.edgesTo[1] = 0// this.edgesTo[2] = 0// this.edgesTo[3] = 1// this.edgesTo[4] = 2
최단 경로 찾기
정점 간의 최단 경로를 찾는 것이다.
너비 우선 검색을 수행하면 자동으로 한 정점에서 연결된 다른 정점으로 도달하는 최단 경로를 찾게 된다.
정점 A에서 정점 D로 도달하는 최단 경로를 찾는다고 할 때 1개의 간선 경로를 찾아보고 없으면 2개의 간선 경로를 찾아보는 식으로 반복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 연결하는 간선 정보를 유지할 배열이 필요 (this.edgesTo) : 겹치지 않게 간선 정보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pathTo(v:number){const source =0;// 너비 우선 검색을 우선 실행한다.// 간선 정보 수집 및 marked 수집.this.bfs(0);if(!this.hasPathTo(v)){returnundefined;}const path =[];for(let i = v; i !== source; i =this.edgesTo[i]){// 여기서 this.edgesTo는 다음과 같다.// const g = new Graph(5)// g.addEdge(0, 1)// g.addEdge(0, 2)// g.addEdge(1, 3)// g.addEdge(2, 4)// 1 - 0, 2 - 0, 3 - 1, 4 - 2 간선 정보
path.push(i);}
path.push(source);return path;}hasPathTo(v:number){returnthis.marked[v];}const paths = g.pathTo(4)// 정점 0에서 정점 4로 도달하는 최단 경로를 보여줌.// 0, 2, 4
위상 정렬
위상 정렬(Topological sorting)은 방향성 그래프의 모든 방향성 간선이 왼쪽에서 오른쪽 정점을 가리키도록 모든 정점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즉, 순서가 정해져 있는 작업을 차례대로 나열할때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선수 제약 일정 관리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물리1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은 물리2를 이수 할 수 없도록 하는것과 같다.
위상 정렬 알고리즘은 깊이 우선 검색 알고리즘과 비슷하다. 다만, 방문한 정점을 즉시 출력했던 깊이 우선 검색과 달리 위상 정렬 알고리즘에서는 우선 현재 정점과 인접한 모든 정점을 방문한 다음 인접 리스트를 모두 확인하고 현재 정점을 스택으로 푸시한다.
topSort() 함수로 정렬 과정을 설정한 다음, 헬퍼 함수인 topSortHelper() 함수를 호출한다.
핵심 기능은 재귀 함수인 topSortHelper() 함수에서 수행한다.
topSortHelper() 함수는 현재 방문한 정점으로 표시한 다음 현재 정점의 인접 리스트에 있는 각각의 인접 정점을 재귀적으로 방문하면서 방문한 것으로 표시한다.
위상 정렬은 DAG(Directed Acyclic Graph: 사이클이 없는 방향성이 있는 그래프) 에만 적용이 가능합니다. 즉, 사이클이 발생하면 위상정렬을 할 수 없습니다.
위상 정렬은 여러개의 답이 존재 할 수 있습니다.
addEdge(v:number, w:number){this.adj[v].push(w);// DAG에만 적용이 가능//this.adj[w].push(v); // 순환 참조를 안시키려면 주석을 해야한다.this.edges++;}topSort(){const stack:number[]=[];const visited =[];// visited 초기화// this.vertices : 총 정점 수for(let i =0; i <this.vertices; i++){
visited[i]=false;}for(let i =0; i <this.vertices; i++){if(visited[i]==false){// 연결되지 않은 정점 들도 파악한다.this.topSortHelper(i, visited, stack);}}// 출력let length = stack.length;for(let i =0; i < length; i++){console.log(stack.pop());}}topSortHelper(v:number, visited:boolean[], stack:number[]){
visited[v]=true;// 깊이 우선 탐색을 위한 재귀// dfs 와 다른 점은 browser의 stack 외에 다른 stack 에 그 결과물을 저장하는데 있다.for(var w ofthis.adj[v]){if(!visited[w]){this.topSortHelper(w, visited, stack);}}
stack.push(v);}// const g = new Graph(6);// g.addEdge(1,2);// g.addEdge(2,5);// g.addEdge(1,3);// g.addEdge(1,4);// g.addEdge(0,1);// g.topSort()// 0 -> 1 -> 4 -> 3 -> 2 -> 5
정리
그래프의 깊이를 먼저 탐색하기 위해선 재귀(stack)를 활용해서 가장 깊이 있는 뎁스 까지 내려갔다가 끝나면 남아있던 형제 정점에서 다시 탐색을 시작한다.
그래프의 너비를 먼저 탐색하기 위해선 현재 정점에 인접한(자식 뎁스)를 큐에 넣고 큐에서 하나씩 빼서 방문하게 만든다.